조합원마당
  • 조합원마당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조회 수 8516 댓글 0
<교과부, KAIST-생명연 통합구상 `윤곽'>
내달까지 합의안 도출..7월말 양해각서

(대전=연합뉴스) 윤석이 기자 = 그동안 안갯속에 있던 교육과학기술부의 KAIST-한국생명공학연구원간 통합 구상 방안이 구체적인 윤곽을 드러냈다.

   27일 교과부가 지난 23일 양 기관에 제시한 `KAIST-생명연의 학.연협력 우수모델 설정계획' 자료에 따르면 두 기관을 통합(M&A)하되 상호 독립성과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해 국책기관의 공공기능이 유지되도록 하는 방안을 구상중이다.

   즉 통합 후 출범하는 `KAIST 생명공학연구원'에 KAIST BCC(BT Convergence Campus) 부총장 겸 원장을 임명, 연구원의 인사(채용.승급), 예산, 사업 등을 관장토록 하고 KAIST의 생명과학기술대학장은 교무.학사 업무를 관장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또 생명연 연구원은 누구나 테뉴어(정년보장)를 신청, 교수직으로 전환 가능하며 KAIST 교수도 연구 전담을 위해 생명연으로 이동할 수 있는 등 자유로운 인력 이동을 보장, 교육과 연구의 시너지를 낼 계획이다.

   이를 위해 양 기관의 내부의사 결정 기구로 `학연협력회의'를 설치, BCC 부총장이 주재토록 했다.

   생명연 직원들의 고용과 처우는 KAIST와 동일하게 보장하고 교수직으로 전환하지 않는 연구원들의 처우도 정부 출연연 수준에서 원칙적으로 적용할 방침이다.

   KAIST와 생명연이 통합함으로써 생명연 직원들의 사학연금 불입액으로 연간 12억5천700만원이 필요할 것으로 교과부는 예측했다.

   아울러 생명연이 KAIST로 통합되더라도 다른 대학과의 연구.협력 관계는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생물자원센터, 국가영장류센터, 생명정보센터 등 생명연의 국가적 인프라를 민간 및 다른 출연연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해 정부 출연연으로서의 고유 기능을 유지하겠다는 복안이다.

   특히 통합의 취지를 유지하고 그 성과를 협의, 조사하기 위해 학계, 관계 등 내외부 전문가 15명으로 `통합운영위원회'도 구성, 운영키로 했다.

   양 기관이 통합하면 교수 및 연구원 수는 351명, 연간 연구예산은 1천479억원으로 규모를 갖추게 되며 교수 1인당 학생 수의 비율도 크게 개선돼 연구 및 교육의 질 향상은 물론 유명교수, 우수 유학생 유치 등이 유리해질 것으로 교과부는 기대했다.

   교과부는 내달말까지 양 기관의 최종 합의안을 도출한 뒤 내부 보고와 각계각층(정부, 국회, 학회, 노조 등)의 공론화 과정을 거쳐 7월말에는 양 기관간 양해각서(MOU)를 체결토록 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생명연 연구발전협의회 안종석 회장(기능대사물질연구센터장)은 "양 기관의 통합으로 얻어지는 시너지가 의문시되는 데다 정책 결정 과정이 관련 당사자는 배제된 가운데 일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며 "파업 등 투쟁의 모습에 앞서 당사자는 물론 학계, 산업계 등이 참여하는 토론의 장을 만들어 합리적인 대안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생명연은 앞서 대학중심으로 출연연구소를 통합하면 기초연구와 응용연구 모두 부실해질 것이라며 두 기관의 핵심역량을 결합해 문제해결형 기초원천연구를 수행하고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학위.연구센터(DRC)인 'KRIBB(생명연)-KAIST 바이오메디컬 융합연구센터(가칭)' 설치를 제안한 상태이다.

   이와 관련 교과부 관계자는 "이 안은 KAIST의 안을 참고해 통합의 구체적인 모습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양 기관의 토론과 협의를 통해 수정될 수 있다"고 말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71 (스크랩) 쌍용차, 자산평가 제각각…결론은 하나같이 '대량 정리해고' 노동자 2012.07.24 15581
570 (스크랩) 쌍용차, 재판부 노동자 2011.08.25 15684
569 (스크랩) 양대노총 "3대 반노동정책 철폐" 요구 노동자 2011.06.09 13098
568 (스크랩) 어떤 임시직 노동자 2012.11.02 13956
567 (스크랩) 전교조 ‘종북’ 표현, 법원 연이어 ‘명예훼손’ 결정 노동자 2013.07.05 14617
566 (스크랩) 콜트·콜텍·쌍용차·용산…누가 우리의 하나됨을 가로막는가 노동자 2012.07.24 15004
565 (스크랩) 한진중, 이번에도 노동자들의 목숨이 필요한가? 노동자 2011.07.18 15682
564 (스크랩) 한진중공업 정리해고자 93명 복직 결정 한진중공업 2012.10.17 16134
563 (스크랩) 현대차 아산, 노조 간부 공장서 자결 노동자 2011.06.09 16066
562 (스크랩) 현대차 아산, 시신 강제 인도에 라인 세워 노동자 2011.06.09 12231
561 (스크랩)MBC 노조, 170일 만에 파업 잠정중단 결정(종합) 노동자 2012.07.17 14127
560 (스크랩)김진숙이 이깁니다, 희망이 이깁니다 노동자 2011.07.15 15318
559 (스크랩)두레박, 송경동, 그리고 희망 희망버스 2012.01.12 15134
558 (스크랩)르노삼성차 노조, 금속노조 가입 노동자 2011.08.22 15942
557 (스크랩)장하나 “민주노총이 장하나를 유용하게 써주시라” 노동자 2013.02.15 15816
556 (스크랩)청소아줌마·학생 도란도란 카이스트에 ‘밥꽃’이 활짝 노동자 2011.10.14 15940
555 (스크랩)한진중 김주익, 곽재규...그리고 2011년 노동자 2011.07.15 15533
554 (스크랩)희망버스는 투쟁하는 가족들의 잔칫날입니다 3차희망버스 2011.07.26 15877
553 (웃어야 하나)K여사가 현대사업소에 간 이유 file 조합원 2009.09.04 10488
552 (유래) 시발노무색기 유머 2011.05.25 1194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2 Next
/ 32